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중국 난징에서 개최된 대회이다. 2009년 대회 상위 5개 팀과 예선을 통과한 태국을 포함한 6개 팀이 참가했으며, 일본이 우승을 차지했다.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은 201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청소년 축구 - 2011년 FIFA U-20 월드컵
2011년 FIFA U-20 월드컵은 콜롬비아에서 개최되어 브라질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2011년 청소년 축구 - 2011년 FIFA U-17 월드컵
2011년 FIFA U-17 월드컵은 멕시코에서 24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개최되어 멕시코 U-17 축구 국가대표팀이 우루과이를 꺾고 우승을 차지한 대회이다. - 2011년 여자 축구 -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은 독일에서 개최되어 일본이 미국을 꺾고 우승하며 아시아 최초 우승이라는 역사를 썼지만, 도핑 및 성별 검사 논란도 있었던 국제 여자 축구 대회이다. - 2011년 여자 축구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올림픽 본선 진출국을 가리는 토너먼트로서,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최종 예선에서 1, 2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하였으며, 이란은 히잡 착용 문제로 기권 처리되는 논란이 있었다.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AFC U-17 여자 아시안컵
AFC U-17 여자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의 17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국제 대회로, FIFA U-17 여자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대한민국, 일본, 북한 등이 우승했고 2026년부터 매년 개최 및 참가팀 확대 예정이다.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은 대한민국 남해군에서 개최되어 일본 U-17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 U-17 여자 대표팀은 4위를 기록했다.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연도 | 2011년 |
다른 제목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이미지 크기 | 130px |
개최국 | 중화인민공화국 |
대회 기간 | 2011년 11월 3일 – 2011년 11월 13일 |
참가 팀 수 | 6 |
참가 연맹 수 | 1 |
경기장 수 | 2 |
개최 도시 수 | 1 |
우승 팀 | (2회 우승) |
총 경기 수 | 15 |
총 득점 수 | 54 |
총 관중 수 | 1624 |
득점왕 | 리은심 (9골) |
최우수 선수 | 나루미야 유이 |
이전 대회 | 2009 |
다음 대회 | 2013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중국 장쑤성 난징에서 개최되었다.[1] 결선 라운드는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와 장닝 스포츠 센터에서 진행되었다.[1]
2. 1. 경기장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중국 장쑤성 난징에서 개최되었다.[1] 결선 라운드는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와 장닝 스포츠 센터에서 진행되었다.[1]
3. 예선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본선에는 총 6개 팀이 참가했다. 200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상위 5개 팀(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중국)은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태국은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2차 예선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다. 5팀이 참가한 2차 예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태국/ฟุตบอลหญิงทีมชาติไทยth | 3 | 0 | 1 | 9 | 7 | +2 |
2 | 미얀마/မြန်မာ အမျိုးသမီး ဘောလုံးအသင်းmy | 3 | 0 | 1 | 11 | 2 | +9 |
3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女子足球代表隊중국어 | 2 | 1 | 1 | 10 | 8 | +2 |
4 | 베트남/Đội tuyển bóng đá nữ quốc gia Việt Namvi | 1 | 1 | 2 | 8 | 11 | -3 |
5 | 이란/تیم ملی فوتبال زنان ایرانfa | 0 | 0 | 4 | 3 | 13 | -10 |
태국과 미얀마가 승점에서 동률을 이루었지만, 득실차가 아닌 직접 대결의 결과가 고려되어 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2010년 12월 3일부터 12월 12일까지 다음과 같은 경기들이 있었다.
- 2010년 12월 3일
-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女子足球代表隊중국어 0 - 3 미얀마/မြန်မာ အမျိုးသမီး ဘောလုံးအသင်းmy
- * 이란/تیم ملی فوتبال زنان ایرانfa 2 - 4 베트남/Đội tuyển bóng đá nữ quốc gia Việt Namvi
- 2010년 12월 5일
- * 베트남/Đội tuyển bóng đá nữ quốc gia Việt Namvi 1 - 3 태국/ฟุตบอลหญิงทีมชาติไทยth
- * 이란/تیم ملی فوتبال زنان ایرانfa 0 - 3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女子足球代表隊중국어
- 2010년 12월 7일
- * 태국/ฟุตบอลหญิงทีมชาติไทยth 2 - 1 이란/تیم ملی فوتبال زنان ایرانfa
- * 미얀마/မြန်မာ အမျိုးသမီး ဘောလုံးအသင်းmy 3 - 0 베트남/Đội tuyển bóng đá nữ quốc gia Việt Namvi
- 2010년 12월 10일
- * 미얀마/မြန်မာ အမျိုးသမီး ဘောလုံးအသင်းmy 4 - 0 이란/تیم ملی فوتبال زنان ایرانfa
- *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女子足球代表隊중국어 4 - 2 태국/ฟุตบอลหญิงทีมชาติไทยth
- 2010년 12월 12일
- * 베트남/Đội tuyển bóng đá nữ quốc gia Việt Namvi 3 - 3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女子足球代表隊중국어
- * 태국/ฟุตบอลหญิงทีมชาติไทยth 2 - 1 미얀마/မြန်မာ အမျိုးသမီး ဘောလုံးအသင်းmy
3. 1. 예선 결과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예선은 1차 예선과 2차 예선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전 대회 1위부터 5위 팀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중국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1차 예선은 10개 팀이 참가하여 5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베트남이 4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했고, B조에서는 이란이 요르단과의 승부차기 끝에 1위를 차지하여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차 예선은 1차 예선에서 올라온 2개 팀과 1차 예선 면제 팀 3개 팀( 태국, 미얀마, 중화 타이베이)을 포함, 총 5개 팀이 참가했다. 태국이 3승 1패로 2차 예선 1위를 차지하며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4. 본선
본선은 2011년 11월 3일부터 11월 13일까지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일본 | 5 | 4 | 1 | 0 | 13 | 3 | +10 | 1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5 | 4 | 0 | 1 | 13 | 3 | +10 | 12 |
중국 | 5 | 2 | 2 | 1 | 7 | 8 | -1 | 8 |
대한민국 | 5 | 2 | 1 | 2 | 11 | 9 | +2 | 7 |
오스트레일리아 | 5 | 1 | 0 | 4 | 7 | 12 | -5 | 3 |
태국 | 5 | 0 | 0 | 5 | 5 | 21 | -16 | 0 |
- 11월 3일:
- * 중국 8 - 0 오스트레일리아 (장닝 스포츠 센터)
- * 대한민국 4 – 0 오스트레일리아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 – 1 일본 (장닝 스포츠 센터)
- 11월 5일:
- * 일본 10 – 0 태국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 오스트레일리아 0 – 3 중국 (장닝 스포츠 센터)
- * 대한민국 0 –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장닝 스포츠 센터)
- 11월 7일:
- * 중국 0 – 3 일본 (장닝 스포츠 센터)
- * 태국 0 – 3 대한민국 (장닝 스포츠 센터)
- * 오스트레일리아 0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11월 10일:
- * 태국 0 – 4 오스트레일리아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0 중국 (장닝 스포츠 센터)
- * 일본 3 – 0 대한민국 (장닝 스포츠 센터)
- 11월 13일:
- * 태국 0 –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 오스트레일리아 0 – 1 일본 (장닝 스포츠 센터)
- * 중국 0 – 0 대한민국 (장닝 스포츠 센터)
4. 1. 참가국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는 다음과 같이 총 6개 팀이 본선에 참가했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일본 | 5 | 5 | 0 | 0 | 18 | 0 | +18 | 15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5 | 4 | 0 | 1 | 14 | 1 | +13 | 12 |
중국 | 5 | 2 | 1 | 2 | 11 | 4 | +7 | 7 |
대한민국 | 5 | 2 | 1 | 2 | 7 | 7 | 0 | 7 |
오스트레일리아 | 5 | 1 | 0 | 4 | 4 | 9 | –5 | 3 |
태국 | 5 | 0 | 0 | 5 | 0 | 33 | –33 | 0 |
4. 2. 경기 결과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결선 라운드는 2011년 11월 3일부터 11월 13일까지 풀 리그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경기는 중국 난징에서 개최되었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일본 | 5 | 5 | 0 | 0 | 18 | 0 | +18 | 15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5 | 4 | 0 | 1 | 14 | 1 | +13 | 12 |
중국 | 5 | 2 | 1 | 2 | 11 | 4 | +7 | 7 |
대한민국 | 5 | 2 | 1 | 2 | 7 | 7 | 0 | 7 |
오스트레일리아 | 5 | 1 | 0 | 4 | 4 | 9 | –5 | 3 |
태국 | 5 | 0 | 0 | 5 | 0 | 33 | –33 | 0 |
- 11월 3일:
- * 중국 8 - 0 태국 (장닝 스포츠 센터)
- * 대한민국 4 – 0 오스트레일리아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 – 1 일본 (장닝 스포츠 센터)
- 11월 5일:
- * 일본 10 – 0 태국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 오스트레일리아 0 – 3 중국 (장닝 스포츠 센터)
- * 대한민국 0 –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장닝 스포츠 센터)
- 11월 7일:
- * 중국 0 – 3 일본 (장닝 스포츠 센터)
- * 태국 0 – 3 대한민국 (장닝 스포츠 센터)
- * 오스트레일리아 0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11월 10일:
- * 태국 0 – 4 오스트레일리아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0 중국 (장닝 스포츠 센터)
- * 일본 3 – 0 대한민국 (장닝 스포츠 센터)
- 11월 13일:
- * 태국 0 –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 오스트레일리아 0 – 1 일본 (장닝 스포츠 센터)
- * 중국 0 – 0 대한민국 (장닝 스포츠 센터)
4. 3. 대한민국 경기
5. 우승
'''일본'''
'''2번째 우승'''
6. 수상
득점왕 | 대회 MVP | 페어 플레이 트로피 |
---|---|---|
리은심 (9골) | 나루미야 유이 |
7. 201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참가 팀
201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참가 자격을 획득한 팀은 다음과 같다.
- 일본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우승)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준우승)
- 중국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3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